Hypersensitivity(과민반응, 또한 hypersensitivity reaction or intolerance라 불림)은 정상적인 면연계에서 만들어지는 원치 않는 반응으로 allergies나 autoimmunity와 같은 것들을 말한다. 이러한 반응들은 손상을 일으킬 수도 있으며, 불편감, 때때로 죽음에까지 이르게 할 수 있다. 과민반응은 숙주의 면역 상태가 미리 예민해져 있어야 한다. 4가지의 분류 체계는 P.H.G. Gell과 Robin coombs에 의해 1963년 제창되었다.
Type 1. allergy
- 자주 볼 수 있는 장애 : 아토피, 아나필락시스, 천식
- Mediators : IgE, IgG4
Type 2. Cytotoxic antibody dependent
- 자주 볼 수 있는 장애 : 자가면역성 용혈성 빈혈, 혈소판 감소증, 태아 적아구증, Goodpasture's syndrome, membranous neuropathy, grave's disease, Myasthenia Gravis(중증 근무력증)
- Mediators : IgM or IgG, (complement)
Type 3. Immune complex disease
- 자주 볼 수 있는 장애 : 혈청병, arthus reaction, 류마티스 관절염, post streptococcal glomerulonephritis, Lupus nephritis, Systemic lupus erythematosus(SLE), Extrinsic allergic alveolitis(Hypersensitivity pneumonitis)
- Mediators : IgG, (complement)
Type 4. Delayed type Hypersensitivity(DTH), Cell mediated immune memory response, antibody-independent
- 자주 볼 수 있는 장애 : 접촉성 피부염, mantous test, metal joint replacement, chronic transplant rejection, Multiple sclerosis(다발성 경화증)
- Mediators : T-cells
Type 5. Autoimmune Disease, receptor mediated
- 자주 볼 수 있는 장애 : Grave's disease, Myasthenia Gravis
- mediators : IgM or IgG, (complement)
참고로 5형에 관하여...
유럽에서 종종 2형과 구분하기 위해 더 추가된 타입입니다.
항체가 세포 표면 구성요소(components)에 붙는 대신, 항체가 인식을 하고 세포 표면 수용체(receptor)에 붙습니다. 이것은 ligand가 의도적으로 수용체에 붙거나 리간드가 효과를 흉내내어 세포의 신호체계를 손상시키는 것을 방지합니다.
제 5형을 사용하는 일은 드뭅니다. 어떤 때는 특별히 제2형의 아형으로 분류가 되기도 하지만, 이러한 상태는 더욱 빈번히 2형으로 분류됩니다.
- From wikipedia Eng : http://en.wikipedia.org/wiki/Hypersensitivity
'醫者 意也 > Western Medicine' 카테고리의 다른 글
cholesterol(콜레스테롤) (0) | 2013.09.10 |
---|---|
homocysteine(호모시스테인) (0) | 2013.09.09 |
Cortisol(코티졸) (0) | 2013.09.04 |
Thyroid hormone(갑상선 호르몬) (0) | 2013.08.30 |
Prostaglandin(PGs) (0) | 2013.08.22 |